석보면 원리 두들마을에 심겨진 '선비가 사랑한 나무'를 소개합니다
- 작성일
- 2015.05.11 20:57
- 등록자
- 박원양
- 조회수
- 487
첨부파일(3)
-
resized_20150510_141259_-936010347.jpg
82 hit/ 244.9 KB
-
resized_20150510_141300_-1683097403.jpg
83 hit/ 114.5 KB
-
resized_20150510_141301_-1076138857.jpg
87 hit/ 291.6 KB
두들마을에 심겨진 선비가 사랑한 나무를 소개합니다.^-^
1.자미화=배롱나무
*상징 : 忠
*예찬선비 : 성삼문(1418~1456)
*두들마을에 있는 곳 : 광산문우.
*재령이씨문중꽃
2.향나무
*상징 : 信
*예찬선비 : 이언적(1491~1553)
*두들마을 있는 곳 : 석간정사.
3.측백나무
*상징 : 致知
*예찬선비 : 추사 김정희(1786~1856)
*두들마을에 있는 곳 : 주곡고택.
4.은행나무=압각수
*상징 : 敬
*예찬선비 : 주세붕(1495~1554)
*두들마을 있는 곳 : 마을안길 옆.
5.회양목
*상징 : 誠
*예찬선비 : 이명구(1842~1925)
*두들마을 있는 곳 : 몽구 이병각 시비 쉼터.
6.회화나무
*상징 : 齊家
*예찬선비 : 송희규(1494~1558)
*두들마을 있는 곳 : 주곡고택.
7.주목
*상징 : 心
*예찬선비 : 우암 송시열(1607~1689)
*두들마을 있는 곳 : 주차장.
8.모감주나무
*상징 : 慈悲
*예찬선비 : 산림 및 숭정처사
*두들마을 있는 곳 : 광산문우
9.두들마을에 조선시대에는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져 가는 나무들
- 앞으로 더 많이 심고 가꾸면, 자랑거리가 될 나무들-
*살구나무 / 仁 / 공자(BC 551~479)
*매실나무 / 格物 / 이황(1501~1570)
*자귀나무 / 正心 / 이옥(1760~1815)
*차나무 / 修身 / 정약용(1762~1836)
*대추나무 / 孝 / 정조(1752~1800)
*잣나무 / 智慧 / 홍여하(1621~1678)
*뽕나무 / 治國 / 조선의 임금들
-사진은 석간정사 앞에 있는 '향나무'/주곡고택 출입문고 뒤뜰에 있는'측백나무'/
주곡고택 앞마당 왼쪽에 있는'회화나무'입니다.
- 나무의 상징성과 사랑하며 예찬한 인물을 생각하며 감상하면.
느낌이 다를 것이라 사료됩니다.
- 참고문헌:선비가 사랑한 나무/강판권 지음
- edited by 문화관광해설사 박원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