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수십 년간 다수확을 목적으로 비료에 의존하여 농사를 지어온 결과 토양 양분 균형이 무너져 생리장애와 연작장해에 의한 품질과 생산성이 크게 떨어져 이를 바꾸고자 1992년부터 종합검정실을 설치하여 정밀분석에 의한 농토배양 및 토양개량으로 생산력을 증대하였으며, 토양정밀분석 활용과 적정 시비 추천으로 관내 친환경 농업의 정착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최근 농산물 안정성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반면 이에 대한 전문 분석기관이 부족한 실정에 있어 2013년부터 추진하여 2014년에 농업기술센터 내 농업환경관리실을 신축하여 재배에서 수확까지, 농작물 및 농환경(토양, 비료, 퇴비, 수질, 농약 등) 등에 대한 사전․후 과학적인 안전성 분석으로 영양 친환경 농산물의 우수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친환경 인증제도 개선 및 소비자 인식에 따른 변화에 부응하고자 2010년에 농업기술센터 내 미생물연구배양실 설치, 농업용 유용미생물 연구 및 생산보급 체계 구축으로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 따른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고 농작물 병해경감 및 생육촉진, 토양생태환경 복원 등 기존 토양검정실과 연계한 통합운영을 통한 이화학적․생물적 요인을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녹색농업 실천으로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추진내용
자체 기본토양검정
- 시범 사업, 분석 의뢰 농가, 검정성적이 오래된 논, 밭 토양을 중심으로 시료채취 분석하여 맞춤형비료 및 농업정책 등에 활용하거나 농가별 적정시비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도 전개하고 있다.
구분 | 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점 수 | 16,275 | 3,227 | 3,972 | 4,488 | 4,588 |
작 목 | 논, 밭 | 논, 밭 | 논, 밭 | 논, 밭 | 논, 밭 |
지 역 | 6개 읍면 | 6개 읍면 | 6개 읍면 | 6개 읍면 | 6개 읍면 |
유해물질 분석
- 농작물 및 농업환경 등에 대한 과학적인 안전성 분석으로 영양 친환경농산물의 우수성을 확보하기 위한 분석을 실시한다.
- 연도별 분석 실적
구분 | 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점 수 | 3,245 | 657 | 591 | 980 | 1,017 |
토양중금속 | 1,329 | 317 | 347 | 331 | 334 |
농업용수 | 417 | 258 | 54 | 51 | 54 |
토양수분 | 396 | 82 | 82 | 116 | 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