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 시인/문인 게시물. 총 22건, 2페이지 중 1페이지 15건 입니다.
- 이문열2017-01-24
- - 이문열(李文烈, 1948년 5월 18일 ~ ) - 1948년 경북 영양군 석보면 원리리에서 출생 - 197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중편 [基下曲]으로 등단 - 저서 : [그해 겨울],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 [금시조], [황제를 위하여], [영웅시대],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등
- 조지훈2017-01-24
- - 조지훈 趙芝薰 (1920.12.3~1968.5.17) - 정 의:시인(詩人), 학자(學者), 지사(志士) - 자 호:본명(本名)은 동탁(東卓) - 생 애:1920-1968 해산(海山) 조헌영(趙憲泳)의 둘째 아들 - 활동사항:한글학회 국어 교본 편찬원, 진단학회(震檀學會) 구사 교본 편찬원, 한국 문학가 협회 창립위원, 사상계(思想界)의 편집위원 - 시 집:[청록집(靑鹿集)](박목월, 조지훈, 박두진, 공저), [풀잎단장], [역사앞에서], [여운(餘韻)], 시론집: [시의 원리], [시와 인생], 번역시집: [당시선(..
- 오일도2017-01-24
- - 오일도(吳一島)( (1901∼1946) - 정 의:시인(詩人), 학자(學者), 지사(志士) - 자 호:본명(本名)은 희병(熙秉), 아호(雅號)는 일도(一島) - 생 애:1901-1946 오시준(吳時俊) 칠원현감(漆原縣監)의 10세손이며 오익휴(吳益休)의 둘째 아들 - 활동사항:시원(詩苑) 창간(創刊), 시집 (오일도시(吳一島詩)), 산문집 (저녁놀)
- 이병각2017-01-24
- - 호는 몽구(夢駒), 본명 이병각(李秉珏) - 1910.1.5~1940.11.28 - 경북 영양군 석보면 원리 305번지 출생. - 1939년 朝鮮文場, 詩學, 文章 등에 작품 활동함. - 시에 구국혼이 깃든 시사상(詩思想)이었으며, 배일정신이 강하였음
- 조애영2017-01-24
- - 호는 은촌(隱村) 본명은 조애영(趙愛泳) - 1911년 2월 1일 영양군 일월면 주곡에서 출생. - 저서 : 은촌내방가사집 (隱村內房歌辭集 ) 내용은 6부로 분류, 1∼5부까지는 가사작품이고, 6부는 가사문학 일반에 대한 이론을 조윤제(趙潤濟)·백철 등 13명이 각기 분담하여 집필하였다. 수록된 가사작품은 총 19편으로 저자의 소녀시절 작품으로부터 시작하여 회갑에 이르는 동안에 지은 작품이다. 가사작품으로 「화전가(花煎歌)」·「직녀가(織女歌)」·「애련가(愛戀歌)」·「산촌향가(山村鄕歌)」·「일월산가(日月山歌)」 등은 저..
- 조동진2017-01-24
- - 호는 세림(世林), 본명 조동진(趙東振, 1917~1937) - 조지훈의 형으로 지훈의 어린 시절 학문의 싹을 키워주면 큰 영향을 끼친이는 형 동진이다. 그는 일찍부터 문재를 보여 14세때 마을 어린이들을 모아 를 조직하고 문집 에 동요와 동시를 발표하였다. 상경하여 시원사(詩苑社)에 머물며 시작에 힘썼으나 일제 치하의 참담한 현실에 절망하여 낙향한 후 연극 등의 문화활동을 하여 청소년 의식화에 앞장섰다. 일경의 집요한 취조와 가택 수색 및 감시에 시달리면 울분에 쌓인 나날들을 보내다 아깝게도 21세에 짧은 생애를 마감하였다..
- 조동탁2017-01-24
- - 조지훈 趙芝薰 (1920.12.3~1968.5.17) - 정 의:시인(詩人), 학자(學者), 지사(志士) - 자 호:본명(本名)은 동탁(東卓) - 생 애:1920-1968 해산(海山) 조헌영(趙憲泳)의 둘째 아들 - 활동사항:한글학회 국어 교본 편찬원, 진단학회(震檀學會) 구사 교본 편찬원, 한국 문학가 협회 창립위원, 사상계(思想界)의 편집위원 - 시 집:[청록집(靑鹿集)](박목월, 조지훈, 박두진, 공저), [풀잎단장], [역사앞에서], [여운(餘韻)], 시론집: [시의 원리], [시와 인생], 번역시집: [당시선(..
- 남장희2017-01-24
- - 호는 소향(?香), 본명은 남장희(南場熙) - 경북 영양군 영양읍 서부동 207번지에서 출생 - 《한글》,《사상계》,《신태양》, 《새벽》,《수필문학》 등 월간지 수필 발표 - 대구매일신문에 정치평론 발표 - 《여원》 에 행복론 발표
- 신동석2017-01-24
- - 경북 여양군 영양읍 동부동 출생
- 강준용2017-01-24
- - 약 력 : 1952년 경북 영양군 영양읍 출생. 1987년 예술계 희곡부문 신인상을 수상하여 문단에 데뷔 1988년 월간문학 단편소설부문 신인상 당선 - 저 서 : [별나라를 지나는 소풍], [스콜], [천재의 울음] 등
- 이위발2017-01-24
- - 약 력 : 1959년 경북 영양군 석보면 출생.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문학예술학과 졸업. 1993년 시전문지 [현대시학]으로 등단. 2002년 시집 [어느 모노드라마의 꿈] 출간. 현 이육사 문학관 사무국장. - 저 서 : [바다풀의 노래], [밤을 잊은 그대에게], [도사님 거꾸로 걷다] 등
- 김부식2017-01-24
- - 약 력 : 1957년 경북 영양군 입암면 출생. 2001년 한민족글마당 신인상. 총신대학 음악과 작곡 전공. - 저 서 : [선바위 예찬], [묘지], [간도아리랑] 등
- 김창동2017-01-24
- - 약 력 : 1946년 경북 영양 출생. 소설가. 문학저널 발행인. 한국문인협회회원. 영등포문인협회회장. - 저 서 : 1973년 수필집 [내마음 구름을 타고] 출간. 1974년 창작집 [바보마을 제로상태] 출간. 1975년 [상사의 아들] 전우신문 연재, 출간. 1978년 [가시나무 열매] 전우신문 연재. 1978년 장편소설 [겨울석류] 출간. 1979..
- 김용식2017-01-24
- - 약 력 : 1925년 1월 9일, 경북 영양군 청기면 소청리 출생. 1980년 대표작인『규중비사』가『연변문예』제1호에서 제10호까지 연재. 1983년 길림성 제6기 인민대표에 당선. 1986년 향년 향년 62세를 일기로 파란만장한 일생을 마침. - 《소쩍새 울던 밤》(1981), 《산골녀성들》(흑룡강조선민족, 1984), 《무영탑》(료녕민족, 1987) 등 - 1986년『문학과 예술』잡지 7-8월호에는 김용식(金溶植)의 서거를 애도하는 특집 추모란이 마련 되었고..
- 황명자2017-01-24
- 약 력 : 1989년 [문학정신]으로 등단
- 담당
- 농림관광국 문화관광과 관광진흥팀
- 담당자명
- 김동주
- 담당전화번호
- 054-680-6412
- 최근업데이트 :
- 2017.01.24
- 조회수 :
- 5,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