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아픈 역사를 딛고 일어선 꽃밭

일월산 자생화공원

  • 일월산 자생화공원 전경
  • 일월산 자생화공원 풍경
  • 위치 : 영양군 일월면 용회2리 394-4번지 일대
  • 안내전화 : 산림축산과 산지이용담당 054-680-6621
  • 이용시간 : 09:00 ~ 18:00
  • 휴무일 : 연중무휴
  • 입장료 : 무료 / 애완동물동반 : 입장불가

일월산과 그 주변 자락에서 자생하는 야생화를 봄,여름, 가을까지 볼 수 있다. 이 부지는 과거 1930년대부터 8.15해방때까지 일제가 광물 수탈을 위하여 일월산에서 금, 은, 동, 아연 등을 채굴하여 이곳에서 제련소를 운영한 후, 폐광석 찌꺼기를 방치하여 토양이 심하게 오염되어 풀 한 포기 자랄 수 없고 인근 계곡은 물고기 한 마리 살 수 없는 채로 30년간 버려진 채 방치되어 있었다.

영양군에서는 2001년도에 폐광지역 오염방지 사업을 실시하여 오염원을 완전 밀봉하여 매립한 후 객토를 실시하여 공원부지를 조성하고 각종편의 시설과 야생화를 식재하여 일월산과 더불어 자연과 휴식할 수 있는 전국 최대규모의 야생화공원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5,475평의 부지위에 일월산과 주변에 자생하는 금낭화, 구절초, 원추리, 벌개미취 등 야생화 64종 112,000본을 식재하였으며 멸종위기에 처한 할미꽃, 하늘말나리 등 희귀 야생화도 감상할 수 있고, 일월산과 같이 고산 지대에 자생하는 야생화도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소나무, 느티, 화살나무 등 향토수종 조경수 11,000본을 식재하여 녹음이 우거진 공원으로 조성하였으며, 특히 공원내 100평 정도의 인공 연못과 수로에는 수련, 꽃창포, 붓꽃 등 습지식물을 관찰할 수 있으며, 그 외 영양이 배출한 청록파 시인 조지훈의 시비석과 전망데크, 정자 등 각종 편의시설과 527평 규모의 주차장도 마련되어있다.

  • 금낭화금낭화
  • 돌단풍돌단풍
  • 매발톰매발톰
  • 중나리중나리
  • 할미꽃할미꽃
야생화 목록

꽃향유, 산옥잠, 해늘매발톱, 벌개미취, 일월비비추, 옥잠화, 비비추, 좀비비추, 참비비추, 할미꽃, 쑥부쟁이, 과꽃, 왕개쑥부쟁이, 구절처, 낙동구절초, 한라구절초, 포천구절초, 까실쑥부쟁이, 수선화, 상사화 꽃무릇, 동지꽃, 제비동지꽃, 층꽃, 둥근잎꿩의비름, 각시취, 산비장이, 개미취, 무릇, 수쿠렁, 감국, 큰꿩의비름, 배초향, 금불초, 산부추, 두메부추, 땅채송화, 패랭이, 기린초, 왜성패랭이, 술패랭이, 섬기린초, 창포, 범부채, 하늘말나리, 참나리층층이꽃, 도라지, 마타리, 꽃창포, 난장이붓꽃, 붓꽃, 노랑무늬붓꽃, 부처꽃, 산조풀, 맥문동, 애기원추리, 원추리, 금낭화, 작약, 골잎원추리, 하늘나리, 털중나리, 섬초롱꽃

수생 및 수변식물

연꽃, 수련, 돌단풍, 바위취, 앵초, 물사초, 화룡 물사초, 노란꽃창포, 벼, 돌미나리

향토수종 조경수

소나무, 느티나무, 영산홍, 자산홍, 조팝나무, 철쭉, 화살나무, 홍단풍, 낙상홍

일월산자생화공원

by nc nd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BY-NC-ND)원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지만,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변경 없이 그대로 이용해야 합니다.
담당
농림관광국 문화관광과 관광진흥팀
담당자명
김동주
담당전화번호
054-680-6412
최근업데이트 :
2017.02.28
조회수 :
3,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