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운리 최진만효자각(山雲里 崔鎭萬孝子閣)
- 작성일
- 2016.03.05 02:41
- 등록자
- 이영석
- 조회수
- 1741
첨부파일(4)
-
이미지 산운리 최진만 효자각 사본.jpg
59 hit/ 951.7 KB
-
이미지 DSC_9697.JPG
1068 hit/ 2.94 MB
-
이미지 DSC_9682.JPG
497 hit/ 2.21 MB
-
이미지 DSC_9699.JPG
492 hit/ 3.00 MB

분류 | 향토유적 > 비지정 |
---|---|
소재지 | (36506) 경상북도 영양군 청기면 산운길 20, 영양군 청기면 산운리 121-3 |
지정번호 | |
연대 | 1988년 이건, 건립연대 추정불가 |
규모 | ‘ㅡ’자형 비각, 비 |
내용 | 효자각은 사면이 한식기와를 올린 토석담장을 두르고 있으며, 두 짝 여닫이 세살문을 달아 출입한다. 우측에는 숲이 있으며 좌측에는 줏재길이 있다. 효자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내부에는 비 1기가 있다 비는 비신받침 위에 비신을 세우고, 삼부에 옥개석을 올린 형태를 하고 있다. 비 전면에는 ‘孝子江陵崔公鎭萬紀蹟碑’란 비명이 각자되어있고, 좌우측과 배면에는 최진만의 일대기가 각자 되었다. 비각 전후좌우면에 중방을 두 개를 걸고 살대를 박아 마감했다. 정면 처마도리 아래에 ‘孝子閣’ 편액이 걸려 있으며 비각 배면에 강릉최씨 후손계보가 각자 된 비석이 놓여 있다. 담장 밖 우측편에는 비각에 각자된 최진만 일대기를 해설한 비석이 놓여있다. 효자각의 기단과 기단바닥은 시멘트 모르탈로 마감 되어 있으며 기단 위 주초는 원형 초석이다. 주초 위 기둥은 원기둥이며 기둥 상부는 이익공으로 짜 맞춤을 했다. 가구는 삼량에 서까래는 각서까래이고, 처마는 겹처마이며, 처마 끝은 막새기와로 마감했다. 지붕은 한식기와를 올린 맞배지붕이며, 박공 면은 풍판을 달아 마감했다. 목재는 석간주색으로 가칠단청한 후 포작부와 무재 끝부분을 파스텔톤으로 단청하였고, 풍판 쫄대목에 하얀색으로 단청하였다. 비각 상량대에 ‘西紀 一九八八年 戊辰 八月 初 二日 未時 立柱 上樑’가 적혀 있다. 현재 마을 버스정류장에 위치하여 마을을 오가는 사람에게 각인시키고 있으며 후손들 또한 지속적인 관심을 두고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적극적인 활용과 관리가 있다면 인문적 가치는 지속될 것이다. |
- 담당
- 문화관광과 관광진흥담당
- 담당자명
- 이준성
- 담당전화번호
- 054-680-6412
- 최근업데이트 :
- 2016.03.05
- 조회수 :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