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빛을 찾아가는 길

주실마을

주실마을 전경

영양군 일월면 주실마을은 400여년이 된 마을로 아늑한 분위기가 느껴지는 곳으로 한양조씨 동족마을이다. 그리고 옥천종택(경북도 민속자료 제42호) 등 숱한 문화자원들이 지금도 그대로 남아 있다. 원래 이곳은 주씨가 살았으나 1630년 조선중기 조광조의 친족 후손인 한양인 조전선생이 사화를 피해 정착하게 되면서 주실마을이라는 별칭으로 불리우게 되었다. 이 마을에는 청록파 시인이자 지조론의 학자였던 조지훈 (1920~1968)의 생가인 호은종택(경북도기념물 제78호)이 마을 한복판에 널찍이 자리 잡고 있다.

  • 시인의 숲

    산아래 고즈넉히 자리 잡은 고택들이 전통적인 유교문화의 숨결을 느끼게 해주는 주실마을의 입구에는 외부에서 보면 마을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울창한 일명 '주실쑤'라는 숲이 있는데 장승을 뜻하는 사투리를 섞어 '수구막이 숲'이라고도 하였다. 지금은 '시인의 숲'이라 불리우고 있다. 수령 100년의 소나무와 250여년의 아름드리 느티나무, 또 느릅나무 등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는데, 이곳이 '시인의 숲'이라 불리우는 이유는 이곳 주실 마을이 바로 시인 조지훈 선생의 생가가 있는 조지훈 선생의 고향마을이기 때문이다. '호은종택'이 바로 조지훈 선생의 생가이다. 옛부터 이곳 주실마을은 붓을 닮은 문필봉이 있어 문필가나 학자가 많이 나오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호은종택'도 정면으로 문필봉을 바라보고 있는곳에 터를 잡고 있는 고택이다. 이곳 작은 시골마을인 주실마을에서는 지금까지 14명의 박사가 배출 되었다고 한다.

  • 호은종택에서 바라본 문필봉

    조지훈의 생가인 호은종택에 발을 들이기 전 필히 해야 할 일이 하나 있다. 호은종택과 마주하고 있는 문필봉을 찾아보는 일이다. 호은종택의 대문을 등지고 맞은편을 보면 여러 개의 봉우리가 보이는데 그중 대문과 일직선상에 놓여있는 봉우리가 바로 주실마을의 문필봉(文筆峰)이다. 문필봉이란 풍수학에서 붓의 모양을 닮은 봉우리를 가리키는 말로 문필봉을 마주하고 있는 집이나 마을에서는 훌륭한 학자가 태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주실마을의 문필봉은 그 봉긋한 생김새도 그렇지만 옆으로 물길까지 끼고 있어 최고의 지형으로 꼽힌다. 붓에 물이 더해지는 형국이니 더 말할 필요도 없지 싶다. 예로부터 주실마을에서 재물과 사람 그리고 문장은 남에게 빌리지 않는다는 삼불차(三不借)의 전통을 이어올 수 있었던 이유도 여기에 있지 않을까 싶다.

주실마을 안내도

왼쪽상단부터 만곡정사 옥천종택 창주정사 방우산장 지훈시공원 지훈문학관 월록서당이 위치하며, 오른쪽 맨끝에 시인의 숲이 자리하고있다. 마을 아래 좌측으로 지훈시광장과 주차장이있다.

주실마을

by nc nd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BY-NC-ND)원 저작자를 밝히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하지만,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변경 없이 그대로 이용해야 합니다.
담당
농림관광국 문화관광과 관광진흥팀
담당자명
김동주
담당전화번호
054-680-6412
최근업데이트 :
2021.09.29
조회수 :
3,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