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딧불이 특징
운문산반딧불이 성충
딱정벌레목의 다른 곤충무리들과 반딧불이과 곤충이 성충단계에서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배 마디에 발광마디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흔히 수컷은 2마디의 발광마디를 갖고, 암컷은 1마디를 갖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는 애반딧불이와 그 근연 종들에 국한된다. 실제로는 발광 마디의 수가 종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Lychnuris 속과 Diaphanes 속의 암컷은 2마디의 양끝에 발광 점만 갖고 있고, Vesta 속의 곤충은 암수 모두 6마디에 발광 점을 한 쌍을 갖는다.
또한 만일 성충에서 발광을 하는 경우에는 유충이나 그의 알들도 발광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발광마디를 전혀 안 갖는 반딧불이도 있다. 이들의 발광마디는 퇴화된 것으로 낮 동안에 생활을 하는 습성으로 바뀐 것과 관련이 있다.
반딧불이과의 곤충 중에는 수컷과 암컷의 생김새가 다른 경우가 많다. 특히, 암컷에서 날개가 감소되거나, 축소되거나 또는 완전히 퇴화 종들이 여럿 있다. 즉, 암수의 이형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무리중의 하나이다. 예를 들어 운문산반딧불이의 암컷은 2쌍의 날개 중에서 겉날개만 존재하고 속날개는 없어졌다. 즉, 날지는 못하지만 배를 보호하는 딱지날개만 갖고 있는 셈이다. 이와는 달리 늦반딧불이의 암컷은 겉날개인 딱지날개와 속날개인 막상의 날개 모두 퇴화되었다. 만일 수컷 성충과 같은 앞가슴등판도 없었더라면 이들은 애벌레와 생김새가 똑같았을 것이다. 보다 더 극단적인 모습으로 대만에 사는 Stenocladius 속의 반딧불이 암컷은 거의 애벌레의 모습을 그대로 갖는다. 이들은 앞가슴등판 조차도 성충의 모습을 하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종들은 모두 야생성 반딧불이이면서 육상생활을 하는 종들이다. 즉, 숲속의 적합한 서식처를 갖고 있고 아주 가까이 알 낳을 곳을 확보하여 멀리 이동하지 않아도 되는 생활로 진화된 무리라고 할 수 있다.
암수이형현상과 관련해서 반딧불이의 암컷과 수컷간에는 더듬이와 눈의 크기가 다른 경우가 많다. 수컷들은 대개 암컷보다는 큰 겹눈을 가졌다. 날면서 암컷을 찾는 동안 자신을 향해 구애의 불빛을 쏘아줄 암컷을 좀더 잘 찾기 위한 전략이다. 반면에, 발광보다는 페로몬에 의지하는 일부의 야행성 반딧불이와 전적으로 낮 동안에 활동하는 주행성반딧불이의 수컷은 더듬이를 발달시켰다.
더듬이의 줄기를 굵게 하거나 (톱니모양) 또는 가지가 다린 사슴뿔모양(빗살모양)으로 암컷이 내는 페로몬 향기를 잘 맡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수컷과 암컷은 서로 만날 기회를 높이기 위한 적응 전략의 하나로서 형태적 변형이 이루어졌다.
반딧불이 더듬이의 다양한 형태
이외에도 학술적으로 반딧불이과를 다른 무리들과 구분할 때, 사용하는 여러 형질들이 있다. 즉, 잘 보이는 특징으로 몸의 표피는 부드럽거나 또는 어느 정도 경화되어 있는데 등면은 뚜렷하게 평평하다. 앞가슴등판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머리를 덮고 있다. 딱지날개의 표면에는 점각들이 얽어 있는 듯이 나 있으며, 종종 시맥의 흔적들이 존재한다. 잘 안 보일 수도 있는 형질로는 머리가 크지 않고, 둥근 겹눈들을 가지며 더듬이는 이마의 중앙에서 나온다. 이 더듬이는 실모양, 톱니모양과 빗살모양인 것들까지 있으면서 모두 11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입 구조에서 윗입술도 발달되어 있다. 몸을 뒤집어 배쪽으로 보면, 다리 중에서 가운데 다리의 밑마디들은 서로 붙을 정도로 접근해 있다. 넓적다리마디는 도래마디를 향해 사선으로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속날개가 완전한 경우에는 둔맥이 확실하게 존재한다.
반딧불이류의 애벌레
딱정벌레목의 다른 곤충무리들과 반딧불이과 곤충이 성충단계에서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배 마디에 발광마디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흔히 수컷은 2마디의 발광마디를 갖고, 암컷은 1마디를 갖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는 애반딧불이와 그 근연 종들에 국한된다. 실제로는 발광 마디의 수가 종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Lychnuris 속과 Diaphanes 속의 암컷은 2마디의 양끝에 발광 점만 갖고 있고, Vesta 속의 곤충은 암수 모두 6마디에 발광 점을 한 쌍을 갖는다.
- 본페이지의 담당부서는
- 생태공원사업소 (054-680-5325) 입니다.
- 최근업데이트
- 2018.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