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릿고개 넘기
척박한 산전을 일구며 살았던 산촌사람들은 봄이면 어김없이 식량이 떨어져, 봄보리를 수확하기까지 굶주림에 시달리는 보릿고개를 넘 어야 했다. 배고픔에 하루 종일 일을 해주고 밥 한 끼 얻어먹는 것을 마다하지 않았으며, 먹을 것이 없어서 칡뿌리를 캐다가 엎어져 죽는 사람이 생겨날 정도로 봄철 춘궁기는 고달픈 시기였다.
번호 | 명칭 | 설명 |
---|---|---|
1 | 괭이 | 칡뿌리나 백토를 채취할 때 사용하며, 산비탈에서 사용하기 쉽도록 자루가 짧다. |
2 | 도끼 | 굵은 칡뿌리를 채취하거나 손질하기 위해서 자를 때 사용 한다. |
3 | 톱 | 칡뿌리를 자르거나 송구를 벗기기 위해서 나무를 자를 때 사용한다. |
4 | 목낫 | 칡뿌리를 자르거나 송구를 벗기기 위해서 나무를 자를 때 사용한다. |
5 | 손작두 | 채취한 칡뿌리 등을 손질하기 위해서 자를 때 사용한다. |
6 | 빻기 | 채취한 칡뿌리나 송구를 망치로 빻아 섬유질을 부드럽게 한다. |
7 | 칡뿌리 및 송구 | 소나무 속껍질 |
8 | 체 | 빻은 칡뿌리를 담아서 섬유질과 갈분을 분리할 때 사용한다. |
9 | 쳇다리 | 체를 받쳐서 물이 원활하게 아래로 빠지도록 받힐 때 사용 한다. |
10 | 함지 | 갈분을 내릴 때 체에서 거른 물을 받는데 사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