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1750년 오 선비의 영양 견문록

1750년 오 선비의 영양 견문록2023-10-27
낙안 오씨(樂安 吳氏) 문중에서 발견된 『단산지지(丹山地誌)』의 영양현(英陽縣) 읍지(邑誌)를 바탕으로 18세기 중반 영양지역을 살펴볼 수 있도록 견문록 형식으로 재구성했습니다.

선비의 절의를 지킨 석계 이시명

선비의 절의를 지킨 석계 이시명2022-10-17
조선 중기 퇴계학을 계승한 뛰어난 학자였고, 영산서당을 서원으로 승격한 교육자였으며, 은거하여 선비의 절의를 지킨 은둔군자였던 석계 이시명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600년을 이어온 고은성황제

600년을 이어온 고은성황제2021-10-20
고려시대 말 왜구의 침탈을 막기 위해 거두산성을 쌓으면서 시작된 고을성황제인 고은성황제의 이야기를 19세기 말을 기준으로 아름다운 삽화와 더불어 담았습니다.

충과 효를 겸비한 국헌 오수눌

충과 효를 겸비한 국헌 오수눌2020-10-12
이 책은 조선 중기 영양읍 감천리에서 태어나 부모에게는 효도를 다하고, 임진왜란을 맞아 큰 공을 세운 국헌 오수눌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정정 : 3쪽 충효당 -〉 충효사

돌구데이에서 다듬은 영양 숫돌

돌구데이에서 다듬은 영양 숫돌2019-08-14
조선시대 이전부터 생산이 시작되었으며 20세기 초 생산조합이 결성되어 대량생산됨으로써 영양지역의 특산물로 알려졌던 '영양 숫돌'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 오류 : 125쪽 박물관 위치 타원 표시(지도 특성을 고려 인지에 큰 지장이 없기에 안내로 대신함).

출판물 표지

영양의 두 어른 조검과 조임2018-08-07
조선 중기에 태어나 충효예의를 실천함으로써 '영양의 두 어른'으로 불렸던 수월공 조검과 사월공 조임의 이야기를 담았다. 정정 : 101쪽 7째줄 삼존불 -〉 삼달존

출판물 표지

소나무 그을음을 빚는 송연먹방2017-05-17
1950년대까지 영양에서 소나무 그을음을 채취해서 전통먹을 생산하였던 송연먹방에 대해서 수비면 계리의 울진장씨 먹방을 중심으로 생산에서 판매까지 이야기를 담았다.

붓을 던져 나라를 구한 문월당 오극성

붓을 던져 나라를 구한 문월당 오극성2016-06-16
임진왜란을 맞아 선비의 몸으로 편지를 써서 나라를 구할 방법을 알려주었으며, 무과에 급제하여 충성을 다했던 문월당 오극성의 이야기를 담았다. 정정 : 106쪽 1967 -〉 1987

충과 효를 모두 이룬 벽산 김도현

충과 효를 모두 이룬 벽산 김도현2015-04-29
19세기 중반에 영양군 청기면 상청리에서 탄생하여 의병운동에 헌신하고, 나라를 되찾기 위해서 순국하신 독립운동가 벽산 김도현 선생의 일대기를 아름다운 삽화와 더불어 담았습니다.

천년의 사랑

천년의 사랑2014-08-05
영양읍 옥산 일대에서 전해오는 전설을 각색하여 스토리텔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제작한 책으로 이무기와 선녀의 사랑과 호국정신을 담았다.

여중군자 장계향

여중군자 장계향2013-06-12
조선시대 중기에 태어나 시서화에 능했으며, 유교적 덕목에 충실하였고, 한글조리서인 '음식디미방'을 저술한 여중군자 장계향의 일대기를 담았다. 출판물 정정 사항 25쪽 봄이면 -〉 가을이면, 한국의 계수 혹은 계화는 목서(木犀)임. 29쪽 1세(世, 30일) -〉 1세(世, 30년) 47쪽 진산인 도굴산 -〉 명산인 자굴산 51쪽 1671년 -〉 1617년 77쪽 안동부의 두솔원과 대명동은 산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지만 17세기 두솔원에 명동이 포함된 것으로 추정됨. 104쪽 영해읍 -〉 영해면, 풍천면 -〉 서후면, 원리 -〉 원리리, 1652 -〉 1653

사진으로 보는 영양 1집

사진으로 보는 영양 1집2012-09-10
1970년과 1971년에 영양군청 공보실에서 촬영한 영양군정 사진자료집

1850년 여름 이선비의 영양견문록

1850년 여름 이선비의 영양견문록2012-01-31
조선시대 영양군 옛길과 그 주변의 문화유적을 설명한 동화책 형식의 기행문

할아버지 이야기보따리

할아버지 이야기보따리2010-10-04
영양지역에서 전승되는 전설과 민담 등 이야기를 아이들에게 들려줄 수 있도록 고증을 거쳐 재미있게 삽화와 더불어 담은 동화책입니다. 한꼭지, 검이와 잉어 두꼭지, 황부자와 학바위 세꼭지, 도적 남매와 남이장군 네꼭지, 일월산 황씨부인

박물관 총서 제1집 [영양지역의 마을과 역사]

박물관 총서 제1집 [영양지역의 마을과 역사]2010-07-23
영양지역에 산재한 약 160여 개소의 자연마을에 대한 역사와 문화가 조사보고되어 있습니다.
게시판 검색영역
담당부서
문화시설사업소 선바위관리팀
이영재
054-680-5368
  • 조회수 4,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