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갤러리
사진갤러리 게시물. 총 45건, 5페이지 중 3페이지 10건 입니다.
- 문화관광부 선정 1999년 11월 문화의인물 선정 배경 및 여중군자장계향선생의 정부지정표준영정사진(제91호)입니다.
정창진 (2013-04-17)
장계향 선생의 영정은 지난 1999년 11월 선생이 이달의 문화 인물로 여성으로서는 신사임당에 이어 두 번째로 선정되면서 시댁인 재령이씨 문중에서 영정을 처음 사용했으나, 표준영정으로는 지정을 받지 못했었다. 이와 관련, 도는 지난 2008년부터 종가, 유림, 지역 여성단체에서 장계향 선생을 경북여성 선양인물 제1호로 선정해 영남 정체성 찾기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해 왔다. 그러던 중, 지난 2010년 12월 박대성 화백에게 장계향선생의 표준영정 제작을 의뢰했고, 2년간의 고증과 수정작업을 거쳐 올 3월 7일, 국가 영정동상심의위원회에서 국가지정 표준영정 제91호로 최종 지정을 받아 이번에 발표회를 마련하게 된 것이다. ◎ 여중군자 장계향선생 1999년 11월 문화의 인물 선정배경 문화관광부는 조선중기 시문과 서·화에 능할 뿐만 아니라 자녀교육에 귀감을 보임으로써 후세 위대한 어머니상으로 추앙 받은 정부인 안동장씨(貞夫人 安東張氏 : 1598~1680)를 11월의 문화인물로 선정하였다. 정부인 장씨는 선조 31년 경북 안동 금계리(金溪里)에서 태어나서 숙종 6년 83세를 일기로 경북 영양 석보촌(石保村)에서 타계하였다. 만년에 셋째 아들 갈암 이현일(葛庵 李玄逸)이 대학자이자 국가적 지도자에게만 부여하는 산림(山林)으로 불림을 받아서 이조판서를 지냈으므로, 법전에 따라 정부인의 품계가 내려졌다. 이때부터 '정부인 장씨'라 불리게 되었다. 결혼전까지는 무남독녀로서 퇴계 이황의 학통을 이으신 학봉 김성일(鶴峰 金誠一)선생의 적통을 이으신 부친 경당 장흥효(敬堂 張興孝)를 모시고, 부모에게 온갖 사랑과 훈도를 받으면서 소녀시절을 보냈다. 당시 성인군자의 입문서인 「소학」과 19사(세상 돌아가는 실제를 알기 위한 중국 역사서)에서 소강절의 난해한 천문도수 학문[元會運世之數]까지 제대로 이해하였다. 결혼당시는 내외법이 더욱 강화되어 가는 시대였지만, 남편 석계 이시명(石溪 李時明)과 함께 부부는 서로 손님처럼[相敬如賓], 더 나아가 서로 동지로서 공경하면서, 때를 맞추는 중용[時中]의 모범을 보이는 여성중의 군자로서 살아 갔다. 특히 그 재주를 숨긴 채, 한 가정의 평범하게 보이는 딸이자 가정 주부이면서도, 그 평범하게 보이는 힘으로 시가와 본가 두 집안을 모두 당시 사회공동체의 기둥이 되는 가문[宗家]으로 일으켜 세우고 더하여 열 자녀를 제대로 키워냈다. 자녀들에게는 늘 '너희들이 비록 글 잘한다는 소리가 들린다 해도 나는 귀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착한 행동 하나를 했다는 소리가 들리면 아주 즐거워 하여 잊어버리지 않을 것이다'라고 가르침으로써 과거시험 공부보다 성리학의 학문적 본질[義理]을 하나 라도 몸소 실천함을 근본으로 삼았다. 한편 주변 사람들로부터는 '착함을 즐기고 의리를 좋아해서 옛 의리를 설명하면서 주위 사람을 착함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강인함과 온유함을 갖춘 도덕적 품성으로, 나이든 사람이나 과부, 고아처럼 의지할 데 없는 사람들을 아무도 모르게 힘껏 도왔고, 만년에 이를수록 숨겨둔 재주와 덕행이 드러나서 칭송을 받았다. 정부인 장씨의 행적을 살펴보면, 왜란·호란같은 국가적·문화적 위기의 시대를 여성의 위치에서 어떻게 극복해 갔는가 하는 점을 잘 보여준다. 오늘날과 같이 전쟁의 혼란과 사회적 격변을 겪음으로써 '어른'이 존재하기 어려웠던 시절에 여성이면서도 스스로 어른으로 대접받는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가르쳐준 대표적 여성상이다. 그리 하여 17세기 이후 조선인들은 정부인 장씨를 맹자(孟子)나 정자(程子)의 어머니와 같은 현명한 분이라고 칭송하였다. 문화관광부는 정부인 안동장씨의 생애와 업적을 널리 알리기 위한 기념행사로 경상북도 등 관련단체와 협조하여 유품 전시회('99.11.10-11), 회고 강연회('99.11.10), 홍보 출판물 제작 배포('99.11월중), 추모 기념행사('99.11.10-11), 정부인 전통음식 자랑('99.11.10), 휘호대회 및 수상작품 전시회('99.11.7-20), 추모 학술대회('99.11.17), 추모백일장('99.11.11), 정부인 안동장씨 실기국역('99.11월중)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 음식디미방 교육관 내,외부사진입니다.
정창진 (2013-04-01)
음식디미방 교육관 내,외부사진 .
- 여중군자장계향 유물전시관 내,외부 사진입니다.
정창진 (2013-03-14)
여중군자장계향 유물전시관 내,외부 사진입니다.
- 음식디미방 음식모형전시관 내,외부사진입니다.
정창진 (2013-03-14)
음식디미방 음식모형전시관 내,외부사진입니다.
- 음식디미방세계화행사(일본오사카)
정창진 (2013-03-14)
음식디미방세계화행사(일본오사카)
- 두들마을 전경1
정창진 (2013-03-14)
두들마을 전경
- 음식디미방 음식사진(동아누르미)
정창진 (2013-03-14)
음식디미방 음식사진(동아누르미) 음식디미방 음식사진(빈자병,화전,연근채) 음식디미방 음식사진(잡채) 음식디미방 음식사진(수증계)
- 2012년 음식디미방 팸투어(네이버,다음 파워블로거)
정창진 (2013-03-14)
2012년 음식디미방 팸투어(네이버,다음 파워블로거)
- 2012년 음식디미방 팸투어(문인협회)
정창진 (2013-03-14)
2012년 음식디미방 팸투어(문인협회)
- 음식디미방 안내표지판
정창진 (2013-03-14)
음식디미방 안내표지판 내용입니다.
- 최근업데이트
- 2019.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