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한식브랜드 음식디미방
-
음식디미방복원사업
경북 영양군은 신사임당과 함께 칭송을 받았던 여중군자 장계향 선생의 업적을 기려 한글 조리서 음식디미방에 소개된 전통음식 가운데 70여 종을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하여 전통한정식 메뉴로 정착시키는 한편, 음식디미방에 소개된 술 51종 가운데 남성주, 두강주 등 14종의 술을 복원하는 등 지속적인 노력을 계속해 왔다.
복원한 음식
만두법,세면법,토장법녹두나화,탁면법,상화법,증편법,석이편법,섭산산법,전화법,빈자법,수교애법,잡과편법,밤설기법,연약과법,다식법,박산법,앵두편법,어전법,어만두법,대합,모시조개,약게젓,붕어찜,대구껍질누르미,대구껍질채,꿩고기김치법,꿩고기잔짠지,꿩고기짠지,별미,탕법,양숙,양숙편,족탕,연계찜,야제육,가제육,석류탕,숭어만두,수증계,해삼전복,연어알,청어젓갈법,닭굽는법,계란탕법,난면법,별착면법,차면법,약과법,빙사과,정법,동아누르미,동아선,동아돈채,동아적,가지누르미,가지찜외찜,오이화채,연근채,쑥탕,순탕,산갓김치,잡채 등
복원한 술
감향주, 송화주, 유화주, 동양주, 남성주, 두강주, 행화춘주, 하향주, 황금주 등
-
음식디미방명품화 사업
영양군은 세계속의 한국 이미지를 고양시키고, 세계인이 공감하는 '맛'과 '멋'에 대한 한국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음식디미방 명품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이미 음식디미방과 규곤시의방 상표등록을 마쳤으며, 다양한 사업의 확대를 위하여 여러 기관과 협조로 각종 세미나를 수차례 실시하였고, 이론적 체계확립과 계획적인 사업추진을 위하여 음식디미방 기본계획 및 개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음식디미방 책자를 3개 외국어로 번역하여 우리 식문화의 우수성을 널리 보급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인력 육성에도 힘을 써왔으며, 장계향 선생이 마지막까지 함께한 두들마을에 전통한옥체험관을 건립하고 정부인장씨예절관, 음식디미방교육관, 전시관을 오픈하였다.
-
음식디미방의웰빙식단
'음식디미방'은 제철에 생산되는 재료를 써서 재료 자체가 가지고 있는 자연의 맛을 최대한 살려서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음식디미방'을 주목하는 이유는 바로 이처럼 우리 몸에 이로운 '웰빙식단'을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음식디미방'은 재료 자체의 고유한 맛과 향, 미각을 돋우는 부드러움과 신선함 등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
약식동원藥食同原
우리의 음식은 '약식동원'(藥食同原) 또는 '식즉약'(食卽藥)이라 하여 '음식이 곧 약이 된다'는 개념을 중시하고 있다. '음식디미방'은 재료 선정에서부터 우리 몸에 이로운 재료를 골라 썼다. 이뇨·완화, 진해·해동, 미용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임금님께 진상했다는 동아를 비롯하여 풍한을 막는 웅장, 습한 기운으로 다리가 약해질 때 주로 쓰는 청어, 가슴에 열이 몰린 것을 치료하는 게, 오장을 통하게 하고 살찌게 하는 숭어, 이질과 냉증으로 오는 설사를 멎게 하는 염교, 눈을 맑게하여 양기를 세게하는 가막조개나 파뿌리, 오미자 등은 몸을 보호하는 약으로 먹은 음식들이라 할 수 있다.
-
저칼로리기능성음식
육류 중심의 튀기는 조리법이 대부분인 고칼로리의 서양 음식에 비해 채소류나 해산물·어류를 주로 사용하는 저칼로리, 기능성 음식으로서 찌거나 굽는 것이 더 많다. '음식디미방'은 좋은 재료로 정성을 다해 준비하는 우리의 음식이다.
- 최근업데이트
- 2019.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