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입여건
- (자체수입) 지방세 및 세외수입은 경기회복 및 고용확대, 세입 확충 노력으로 개선될 전망이나, 대내외 경기여건 등에 따라 불확실성은 지속
- (이전수입) 내국세 세입여건이 개선되어 지방교부세 증가가 예상되며 국고보조금은 일자리 창출 및 복지지출 등의 소요 증가로 다소 늘어날 것으로 전망
세출여건
- (복지정책확대)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 인구구조 변화 등에 대한 복지정책 확대로 지방비 부담이 증가할 예정
- 지역공공 위기 해소를 위해 일자리 창출 등에 따른 재정소요
- 기초연금·장애인 연금 등 지원강화 등에 따라 복지비 부담 증가
- (신성장및안심사회) 혁신성장에 대한 투자확대 및 주민안심사회구현
- 지역 특성에 적합하고 고용창출 효과가 큰 전략산업 적극 육성
- 재난 및 안전관리, 재난복구 능력 강화 등 주민안전을 위한 투자 확대
- (경제활성화도모) 경제활성화를 위한 지출 수요는 지속적 증가 예상
- 도로·교량·하천 등 지역 SOC사업 지속 정비
- 소상공인·중소기업, 농축수산 부문의 경쟁력 강화 지원